Random Network Model은 specified parameter를 갖는다. 그렇지만, edge는 랜덤하게 나타난다. 

굉장히 간단한 랜덤 네트워크 모델은 노드와 엣지의 수가 고정되어있을때, 엣지를 랜덤하게 위치시킨 모델이다. 

Erdos-Renyi Model는 더 다루기 쉬운데, 엣지 수를 고정하는것보다 엣지의 확률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는 예상되는 엣지수를 고정하고 실제 엣지수는 예상되는 엣지수 근처에 머무르게 하는것이다. 

이 모델은 일반적인 degree distribution과 다른 모양을 띄고 있고 매우 작은 clustering coefficient와 매우 큰 diameter를 갖는다. 

 

Configuration model은 random graph model이다. 

네트워크를 Degree of Node의 distribution으로 표현한다면 굉장히 skewed하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100~200의 친구를 갖는 사람들은 매우 많은데, 테일러 스위프트 같은 사람이 친구를 수천명 혹은 수만명 갖고있는 경우에 꼬리가 굉장히긴 distribution(right - skewed)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테일러 스위프트가 갖는 high degree를 hubs라고 부른다. 

 

nodes의 분포는 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 상관없이 멱법칙을 따른다. 

 

large scale network를 측정하고 양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measure

  • Degree distribution
  • Clustering coefficient
  • Diameter of a Network

 

지금까지, node에 대해서 언급했다면 edge의 입장에서 보자. 

네트워크가 node N개의 간단한 모형이라면 edge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N * (N-1)/2 이다.

또한, 네트워크의 밀도(Density of Network) 는 엣지의 비율(Fraction of Edge)이다. densitiy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양상이 달라진다. 

 

네트워크 밀도에 대해서 논한다면, 가장 먼저 sparse network를 말할 수 있다. 노드 수에 비해 엣지 수가 드문 경우이다. social network가 sparse network의 예이다. 반대로, 엣지가 노드 수를 거의 따라잡은 것이 dense network다. 예를 들면, 먹이사슬이다. 

 

Clustering coefficient는 해당 노드에 이웃하는 노드들이 얼마나 잘 연결되어 있는지 측정하는 measure이다. 

 

Diameter of a Netwrok는 두 노드가 정보가 흐르는데 걸리는 최대 거리를 말한다. 다시 말해, 한 사람으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정보가 가기까지 걸리는 가장 긴 길이를 말한다. 또한, 정보가 가기까지 걸리는 최대시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maximal geodesic distance in a network이다.

중심성지수를 활용하는 이유

네트워크가 작을때는 노드들간의 관계가 눈에 보이지만, 노드가 만약 수천 수만개라면? 하나의 헤어볼처럼 보이기 쉽상이다. 

노드들이 복잡하게 엣지들과 연결되어 있을때 어떻게 중요한 노드를 알아볼 수 있을까?

이때 사용되는 중심성지수라는 것을 살펴보려한다. 

 

 

중심성지수의 종류와 예제

 

  • 위세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

예제를 살펴보자, 만약 BTS콘서트가 열리고 콘서트 티켓을 어떤 사람에게 주어야 다른 사람들에게 충분히 홍보가 될까? 

이는 중요한 노드가 무엇인지 찾는 과정이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가장 많은 친구가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다. 가장 엣지가 많이 연결된 노드를 찾으면 된다. 

degree of node는 그 노드에 연결되어있는 엣지 개수이다. 이를 adjacency matrix에서 찾으려면 해당하는 노드의 행을 모두 더해주면 된다. 왜냐하면 adjacency matrix는 행과 열이 각각 node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행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걸로 그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고 따질 수 없다. 그 사람이 연결된 사람이 많을 뿐이지, 그 사람의 친구, 또 그 사람의 친구가 

계속 영향력 있는 사람일지는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학적으로 영향력이 계속 많은 친구의 중심은 어떻게 구할까? 

eigenvector centrality로 구한다. 이 방법은 해당하는 노드에 주변 모든 이웃들의 점수를 합산한 값을 내준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Page Rank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indirected network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면, World Wide Web. 

 

  • 근접 중심성(Clossness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은 특정 노드가 다른 노드까지 도달하는 경로가 얼마나 짧은지를 나타낸다.

근접 중심성을 계산하는 수식은 노드 I에서 I를 제외한 다른 노드까지 도달하는 최소 경로의 평균을 구한 다음, 그 평균을 역수 취하면 된다.  

 

  •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Bottleneck of network는 정보의 흐름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node를 말한다.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정보의 양은 그 노드가 몇개의 경로를 통과하는지에 비례한다. 가장 많은 정보가 지나가는 노드를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는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이다. 매개 중심성은 한 노드가 다른 노드들과의 연결망을 구축하는데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 측정하는 지표로 두가지 가정을 한다. (1) 정보의 흐름은 일정한 속도를 갖는다. (2) 정보는 가장 짧은 경로로 다닌다.

 

이때, 모든 짝의 노드들을 지나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Floyd-Warshall algorithm을 사용한다. 

노드 I의 중요성이 아닌 임의의 X, Y 노드에 대해서 X-Y의 최단 경로에 노드 I가 포함되어 있는 횟수를 의미한다. 

 

Network란? 

entities간에 연결성이 있고 그간의 relationship을 나타내주는 통계적표현법입니다. 

undirected graph와 directed graph로 나뉘는데, undirected는 말그대로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용자들 간의 관계를 나타낼때는 단순히 한 방향으로만 정보가 흐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undirected하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먹이사슬같은 경우는 directed graph로 표현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가젤이 사자를 잡아먹는 일은 거의 없기때문에 사자와 가젤간의 관계를 directed로 표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위터도 상대의 팔로우 없이 내가 다른 사람을 팔로우 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도 directed graph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장 단순한 network모델을 simple network라고 부릅니다. 

이는 두개의 노드가 1개 이상의 엣지를 갖지 않고, self-loop를 생성하지 않는 모양의 network를 말합니다. 

그리고, 어떤 사이클도 갖지 않는 경우에 이를 trees라고 부릅니다. 

싸이클이 있는데 순환하지 않는 경우에는 Directed Acyclic Graph 줄여서 DAG라고 합니다. 예시로 먹이사슬이나, citation graph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넷플릭스 같은 경우, bipartite graph라고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