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셔닝이란?

큰 테이블의 용량을 관리하기 위해 작은 테이블(Partition) 로 쪼개는 것

 

 

파티셔닝의 종류

1) 수평 파티셔닝: 행을 분리해 다른 테이블에 분산(일반적인 방법)

2) 수직 파티셔닝: 컬럼들을 쪼개서 따로 저장하는 형태로 스키마의 분리가 필요함

 

* 테이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규칙을 정의하는 메타데이터

 

파티셔닝 문법

 

https://magpienote.tistory.com/248#google_vignette

 

[Hive] Partition이란?(add 추가, drop 삭제, show partitions 조회, partitions)

Hive에서 사용하는 partition이란? table을 만들 partition을 이용하여 폴더 구조를 세분화 해서 관리 할 수 있다. 폴더를 구조적으로 나눠주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다만, 너무 많

magpienote.tistory.com

 

 

효율적인 쿼리를 위한 팁: https://blog.naver.com/islove8587/223422351135

 

[SQL] 쿼리 최적화 : 효율적인 쿼리를 위한 팁

[참고 사이트] - 쿼리 최적화: 빠른 쿼리를 위한 7가지 체크리스트 - [MYSQL] SQL 쿼리문 최적화 -...

blog.naver.com

 

'Sql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관련 개념정의  (0) 2025.02.14
6. 서브쿼리 + 세미조인/안티조인  (0) 2020.02.10
5. 조인 - 테이블간에 관계맺기  (0) 2020.02.10
4. 집합 연산자  (0) 2020.02.10
3. 데이터집계  (0) 2020.02.09

+ Recent posts